해외주식갤러리
광고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군인 월급 문의 드려욥 제가 이병인데 월급 75만원에 적금 55만원이라 공제액이 55만원이어야 하는데 57만원이라고

제가 이병인데 월급 75만원에 적금 55만원이라 공제액이 55만원이어야 하는데 57만원이라고 하네요?…. 2만원의 출처 아시는 분? (참고로 청약은 아무것도 신청 하지 않았습니다.)

1. 군인 월급 공제의 구성

군인 월급에서 빠져나가는 금액(공제액)은 다음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군 적금 금액 (본인 지정, 예를 들어 55만원)

  • 군 복지회비, 병영생활관 운영비 등(소액)

  • 개인적으로 신청한 적금이나 정부 정책 공제금

  • 기본 공제(4대보험, 세금 등): 병사는 거의 해당 없음

  • 기타 선택 공제(예: 병영생활비, 단체상해보험, 상담비, 병영통신비 등)

2. “2만원 추가 공제”의 대표적 원인

아무것도 신청 안 했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아래 중 하나가 적용된 것일 수 있습니다.

  • 군 복지회비, 병영생활관 운영비

  • 매월 약 7,000원~1만원 내외가 '자동'으로 빠져나가는 경우가 많음 (각 부대/사단별 편차)

  • 병영통신비(군인 휴대폰 요금 자동 이체)

  • 휴대폰 요금(알뜰폰·병영요금제) 사용하면, 급여에서 공제되는 경우가 흔함

  • 단체상해보험료

  • 일부 부대에서 단체보험 가입되어 월 5,000~7,000원 징수되는 경우 있음

  • 기타(심리상담비, 추가 적금 등)

  • 부대별로 '병사회 운영비'등 이름으로 소액 징수되는 케이스

3. 확인 방법

  • 급여 명세서를 확인하면, 어떤 항목으로 2만원이 추가 공제되는지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 (급여지급 명세표 또는 '더캠프'·'병무청 앱' 등에서 확인 가능)

  • 보통은 적금 + 군 복지회비/통신비/보험비 등이 자동 합산되어 공제됩니다.

  • 부대 행정반(인사과)에 문의하면 즉시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정리 및 권고

  • 대부분 “적금 이외의 부대 필수 공제(예: 복지회비, 병영통신비, 단체보험료)”가 원인입니다.

  • 청약 등 아무것도 신청 안 해도 이런 항목이 존재할 수 있음.

  • 급여 명세서를 직접 확인하거나, 행정반에 문의하면 본인 공제 내역을 알 수 있습니다.

추가로 군 복지회비, 통신비 등 세부 공제 항목이 궁금하다면, 본인 부대 담당자에게 확인하세요!

혹시 급여 명세서 사진 등을 첨부해주시면 더 정확히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